문제 설명
2021년 12월, 네 번째로 개최된 ZOAC의 오프닝을 맡은 성우는 오프라인 대회를 대비하여 강의실을 예약하려고 한다.
강의실에서 대회를 치르려면 거리두기 수칙을 지켜야 한다!
한 명씩 앉을 수 있는 테이블이 행마다 W개씩 H행에 걸쳐 있을 때, 모든 참가자는 세로로 N칸 또는 가로로 M칸 이상 비우고 앉아야 한다. 즉, 다른 모든 참가자와 세로줄 번호의 차가 N보다 크거나 가로줄 번호의 차가 M보다 큰 곳에만 앉을 수 있다.
논문과 과제에 시달리는 성우를 위해 강의실이 거리두기 수칙을 지키면서 최대 몇 명을 수용할 수 있는지 구해보자.
입력
H, W, N, M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0 < H, W, N, M ≤ 50,000)
출력
강의실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인원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4 1 1
예제 입력 2
6
알고리즘 분류
수학
사칙연산
나의 문제 풀이
const input = require("fs")
.readFileSync("/dev/stdin")
.toString()
.trim()
.split(" ")
.map(Number);
const solution = () => {
// 가로에 앉을 수 있는 사람 수
const a = Math.ceil(input[0] / (input[2] + 1));
// 세로에 앉을 수 있는 사람 수
const b = Math.ceil(input[1] / (input[3] + 1));
// 가로 * 세로
console.log(a * b);
};
solution();
숫자 놀이
문제풀이 소감
공식만 찾으면 되는 비교적 간단한 문제였던 것 같다. 가로 세로를 분리해서 계산하는 것까지는 금방 떠올렸는데, 그냥 나눴을 때는 값이 나오지 않아서 Math.ceil을 떠올리기 까지는 좀 걸렸다.
'🎲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Node.js] 삼각형과 세 변_5073번 (2) | 2024.09.27 |
---|